바이오나노기술(Bionanotechnology)은 바이오기술(BT)에 나노기술(NT)을 접합한 대표적 융합기술(Fusion Technology)로서 21세기 지식융합산업의 결정체이다.
바이오나노학과의 교육목표는 BT, IT, 및 NT의 기초, 공학, 및 이학 등의 광범위한 학문 분야 간의 접목을 통하여, 창의적 연구로 지식융합산업을 리드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있다.
전공분야 | 개요 |
---|---|
생명공학 |
<바이오 전공>교육 및 연구분야
|
나노공학 |
<나노 전공>교육 및 연구분야
|
바이오나노공학 |
<바이오나노 융합전공>교육 및 연구분야
|
[Note! 아래 표는 좌우 스크롤이 됩니다.]
성명 | 직위 | 학위명 | 전공지도분야 | 연구분야 |
---|---|---|---|---|
성기훈 | 교수 | 공학박사 | 분석생화학 | 전기화학센서, 바이오칩/바이오센서 |
임동우 | 교수 | 공학박사 | 바이오나노융합 바이오메디칼공학 바이오센서 | 바이오나노 융합재료, 인공단백질재료, 생체고분자재료, 생체조직공학, 약물전달시스템, 바이오센서 |
채필석 | 교수 | 이학박사 | 생명유기화학, 화학생물학 | 유기나노입자, 생체막모방시스템 ,나노디스크개발 |
홍종욱 | 교수 | 공학박사 | 융합바이오공학 및 미래의학 | 개인형맞춤의학, 초정밀조기진단, BioMEMS/NEMS, BioChip/LabChip |
이승환 | 부교수 | 공학박사 | 생물공학, 나노바이오공학 |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센서, MEMS/NEMS, 생물공학, 생체모사시스템 개발 |
김도균 | 부교수 | 공학박사 | 재료화학 | 바이오소재, 바이오센싱, 바이오이미징 |
이주헌 | 부교수 | 공학박사 | 나노바이오공학 | 나노바이오물질, 생체모방, 나노바이오센서, 바이오압전, 자가정렬, 바이러스 공학 |
[Note! 아래 표는 좌우 스크롤이 됩니다.]
학수번호 | 과목명 | 이수구분 | 학위과정 | 학점 | 강의 | 실습 | 개설학기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OE8027 | 박사논문연구1 | 연구필수 | 석박사 | 2 | 2 | 0 | 매년개설 |
COE8028 | 박사논문연구2 | 연구필수 | 석박사 | 2 | 2 | 0 | 매년개설 |
COE8026 | 석사논문연구 | 연구필수 | 석사 | 2 | 2 | 0 | 매년개설 |
BNT6002 | ★바이오나노연구방법론 | 연구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BNT0046 | #바이오나노테크놀로지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1학기(매년) |
CHM8009 | *고급분석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40 | 나노과학특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08 | 단백질체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6010 | #바이오나노공학응용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42 | *#바이오나노융합기술세미나1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03 | 생명분자와상호작용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47 | 생분자물질결합화학기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09 | 세포생물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CMS8085 | *에너지변환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CMS8051 | *유기화학원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52 | 의약생명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CMS8090 | *전산재료원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BNT0039 | 초미세공학개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1 |
APP0003 | *양자역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학기(매년) |
BNT0021 | 게놈분석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BNT0041 | 바이오나노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BNT0051 | 바이오나노기기분석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BNT0036 | 바이오나노재료와조직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APP6007 | *#바이오네트워크분석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CMS8088 | 소재물리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CMS8006 | *유기물질구조결정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BNT6003 | 분자생명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2-2 |
CHM8018 | *고급고분자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CMS8081 | *#고급나노재료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BNT6008 | 고급생리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CHM7016 | 고체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BNT0044 | *#바이오나노융합기술세미나3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BNT6009 | *#바이오-인텔리전스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CMS8040 | *유기반응총론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BNT0048 | 융합BIOMEMS/NEMS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APP6008 | *#인공신경망과바이오빅데이터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CHM6043 | *전산재료응용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CMS8012 | *#고급의약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1 |
BNT6005 | 4차산업혁명시대의바이오산업(FIR)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CMS8091 | *고급생분석화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0016 | 바이오나노분석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0045 | *#바이오나노융합기술세미나4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0037 | 바이오나노포토닉스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DBC8070 | *#바이오-의료기술개발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6001 | 생물공정및인식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0025 | 세포분화및전산인자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6006 | #진단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6004 | *화학분자공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BNT0050 | 후성유전체학 | 전공선택 | 석박사 | 3 | 3 | 0 | 2023-2 |
* 는 타과전공인정 과목
#는 바이오나노융합전공 과목
★연구선택 교과목의 경우, “격년개설” 교과목(2022-2학기 개설)